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예방사업

예방뉴스

SeoulPCC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사고- 향초
  • 조회수 32
  • 2025-04-23

거실이나 욕실 같은 집안 공간을 향기로 채우고, 은은한 불빛으로 편안한 분위기를 만들어주는 향초는 촛불을 밝히면서 향긋한 냄새를 내도록 만든 양초인데요.

일반 양초와 달리 왁스에 향료가 섞여 있어 불을 붙이면 향이 퍼집니다.



향초는 어떤 성분을 가지고 있을까요?

왁스는 양초의 몸체를 만들고 연료로 사용되는 성분입니다. 석유에서 얻은 파라핀 왁스가 가장 흔하게 사용되며, 소이왁스(콩기름), 비즈왁스(밀랍)처럼 천연 재료에서 얻은 왁스도 사용됩니다. 

향료는 향초에 향기를 내는 성분으로 천연 에센셜 오일이나 합성 향료 등이 사용됩니다. 

이외에도 향초에 색을 내는 염료, 향기지속제, 점도 조절제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향초 사용 시 실내공기질 관리 필요, 한국소비자원(2020)]



향초 관련하여 어떤 중독사고들이 발생할 수 있을까요?

아이가 방에서 창문을 닫고 향초를 피웠더니 기침을 하고 어지럽다고 하네요. 괜찮은 걸까요?

향초의 왁스가 탈 때 휘발성유기화합물(VOC)과 같은 유해가스가 소량 나올 수 있습니다. 호흡기가 약한 어린이와 노약자가 밀폐된 공간에서 이러한 유해가스에 노출되면 두통, 어지럼증, 기침, 기관지염 같은 호흡기 자극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향초 사용 시 실내공기질 관리 필요, 한국소비자원(2020)]

[Wax Candle Poisoning, Mount Sinai Health System (2024)]

[The dangers of VOCs in candles and 6 healthier alternatives for fresh home, ECI Comfort (2021)]


Page 4

아이가 향초의 촛농을 조금 맛봤어요. 소량 섭취했는데 괜찮을까요?

향초 왁스를 소량 먹는 것만으로는 다행히 독성 위험은 낮습니다. 일단 아이의 입안을 물로 잘 헹구어 남은 왁스를 제거하고, 억지로 토하게 하지는 마세요. 대부분 특별한 증상이 없으면 걱정할 필요 없지만, 혹시라도 구토, 복통 등 이상 증상이 나타나거나 지속되면 병원에 방문하세요.


[향초 사용 시 실내공기질 관리 필요, 한국소비자원(2020)]

[Wax Candle Poisoning, Mount Sinai Health System (2024)]

[The dangers of VOCs in candles and 6 healthier alternatives for fresh home, ECI Comfort (2021)]



향초는 올바르게 사용하면 더욱 안전하고 향기롭습니다!

실내에 향초를 켤 때는 꼭 공기를 순환시키세요

밀폐된 공간에서 오래 향초를 태우면 실내 유해물질 농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향초는 필요한 경우에만 일시적으로 사용하며, 잠들기 전에 끄고 자야 합니다.

향초 주변에 종이, 커튼 등 가연성 물질을 두지 마세요.

향초 연기를 마시고 이상 증상이 있는 경우 향초를 끄고 창문을 열어 충분히 환기하세요

향초를 실수로 섭취한 경우 입 안에 남은 물질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내세요.


[향초 사용 시 실내공기질 관리 필요, 한국소비자원(2020)]

[‘은은한 향기’ 디퓨저와 향초, 잘못 쓰면 각종 질환 유발, 헬스경향(2017)]

[Wax Candle Poisoning, Mount Sinai Health System (2024)]